“ISA, ETF, CMA... 이게 다 무슨 말이야?”
사회 초년생 시절, 월급이 들어오자마자 통장 잔고가 0원이 되어가는 걸 지켜보면서 나는 처음으로 금융에 대해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하지만 문제는... 용어가 너무 어려웠다는 것이다.
그래서 오늘은 나처럼 금융 문맹이었던 시절의 나에게 설명해주는 마음으로, 꼭 알아야 할 금융 용어를 스토리로 쉽게 풀어보려 한다.
왜 금융 용어부터 알아야 할까?
재테크를 시작한다고 하면 보통 "적금부터?" "주식?" 이런 생각을 한다. 그런데 금융 기초 용어조차 모른다면 제대로 된 판단을 할 수 없다. 마치 외국어 책을 펼쳤는데 알파벳조차 모르는 상황과 같다.
나의 첫 금융 망신: CMA 통장 사건
회사 선배가 “야, 요즘 이자 괜찮은 CMA 열었냐?”라고 물었을 때 나는 당당하게 “전 아직 은행만 씁니다”라고 답했다. 그리고 집에 와서 검색했다. 그때 알게 됐다. CMA는 Cash Management Account로, 증권사가 제공하는 단기 금융 상품이라는 것. 자유입출금도 가능하고, 금리도 꽤 높았다.
초보가 꼭 알아야 할 금융 용어 10가지
1. CMA (Cash Management Account)
증권사에서 제공하는 단기 금융 상품. 이자도 높고, 입출금도 자유로워서 요즘 사회초년생 필수템이다.
2. ISA (Individual Savings Account)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다양한 금융상품을 한 계좌에 담을 수 있으며 세금 혜택이 있다.
3. ETF (Exchange Traded Fund)
주식처럼 거래되는 펀드. 분산투자가 가능하면서도 수수료가 낮아 초보에게 인기 많다.
4. 연복리/단리
복리는 이자가 붙은 원금에도 다시 이자가 붙는 개념. 단리는 이자가 원금에만 적용된다. 장기적으로 복리는 훨씬 유리하다.
5. 금리
돈을 빌려줄 때 받는 이자율. 예금 금리, 대출 금리 등 상황에 따라 차이가 있다.
6. DTI / DSR
DTI는 소득 대비 부채 비율, DSR은 전체 금융부채 원리금 상환 부담을 계산하는 지표. 대출 받을 때 꼭 알아야 한다.
7. 신용등급 / 신용점수
신용을 수치화한 지표로, 대출 조건이나 금리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8. 상환 방식: 원리금 균등 / 원금 균등
원리금 균등은 매달 같은 금액을 내는 방식, 원금 균등은 초기에 많이 내고 점점 줄어드는 방식이다.
9. 복리효과
시간이 지날수록 이자가 이자에 붙어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효과. 일찍 시작할수록 유리하다.
10. 분산 투자
모든 돈을 하나의 자산에 넣지 않고 여러 자산에 나누어 투자하여 리스크를 줄이는 방법이다.
용어를 알면 금융이 보인다
예전에는 금융 상품 하나를 가입하려 해도 설명서를 3번 읽고도 이해가 안 됐지만, 지금은 단어만 봐도 대강의 방향이 보인다. 이유는 간단하다. ‘기초 용어’를 알고 나니 전체적인 구조가 보이기 시작한 것이다.
스스로 똑똑한 소비자가 되자
정보의 시대다. 아무도 우리에게 친절히 설명해주지 않는다. 하지만 용어만 알아도, 충분히 금융 문맹에서 탈출할 수 있다. 나처럼 통장에 잔고 0원을 보며 멘붕 온 이들에게 이 글이 작은 시작이 되길 바란다.
마무리: 시작은 이해부터!
재테크든 투자든, 반드시 거쳐야 할 단계는 ‘이해’다. 그리고 그 시작은 ‘금융 용어 익히기’다. 내가 겪은 부끄러웠던 실수들이 누군가에겐 도움이 되길 바란다. 우리, 똑똑한 금융 생활 함께 만들어가보자!
#금융문맹탈출 #재테크기초 #초보금융상식 #금융용어정리 #ETF #CMA #ISA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융 문맹 탈출! 꼭 알아야 할 금융 용어 정리 (0) | 2025.04.27 |
---|---|
ETF란? 재테크 입문자가 이해하기 쉽게 설명 (1) | 2025.04.26 |
저축과 투자, 뭐부터 시작해야 할까? (2) | 2025.04.25 |
20대가 꼭 알아야 할 재테크 기본기 (0) | 2025.04.24 |
월급 관리 잘하는 5가지 방법 (1) | 2025.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