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재테크 한 살이라도 어릴 때 시작해야 하는 이유” 20대 재테크 ―
재테크, 그게 나랑 무슨 상관이야?
22살 대학 졸업 직전, 나는 ‘재테크’라는 단어가 어색했다. 부자들이나 하는 거라고 생각했고, 지금 당장 아르바이트비로 월세 내기도 빠듯했으니까.
그런데 25살이 되자 상황이 달라졌다. 월급을 받아도 통장이 늘 바닥이고, 주변 친구들은 하나둘 적금, 주식, 심지어 부동산까지 얘기하기 시작했다. 나만 뒤처지는 기분이었다.
이제라도 시작할 수 있다. 아니, 지금 시작해야 한다
‘돈을 관리하는 습관’이 결국 당신을 부자로 만든다
20대에 꼭 알아야 할 재테크 기본기를 지금부터 하나씩 정리해보자. 나의 실패담과 함께.
1. 소비 습관을 먼저 점검하자
커피, 택시, 배달… ‘티끌’이 모이면 통장에 ‘텅’
처음에는 4천 원짜리 아메리카노가 별것 아닌 줄 알았다. 하지만 그게 주 5일, 한 달이면 8만원이었다. 택시비, 배달비까지 합치면 월 20만원. 이것을 어떻게 줄여볼까? .
🔎 팁: 3개월 동안 가계부 앱을 써서 ‘내가 어디에 돈을 가장 많이 쓰는지’ 분석해보자. 내가 몰랐던 나의 소비 습관이 보인다.
2. 통장은 3개 이상으로 쪼개라
소비 통장 / 고정비 통장 / 저축 통장
- 소비 통장: 체크카드 연결. 이 통장에서만 쓴다.
- 고정비 통장: 월세, 휴대폰 요금, 보험 등 자동이체 등록
- 저축 통장: 선저축 계좌. 월급 들어오면 자동이체
이렇게 쪼개 놓으면, 내가 얼마를 ‘써도 되는 돈’인지 감이 잡힌다. 그게 재테크의 시작이다.
3. 첫 월급의 10%라도 투자하라
예금도 좋지만, ‘투자 감각’을 길러야 한다
나는 26살에 처음 주식을 샀다. 그 전까지는 겁이 나서 손도 못 댔다. 그런데 친구가 “주식은 10만 원으로도 할 수 있어”라고 말해준 게 전환점이었다.
처음엔 ETF로 시작했고, 이후 개별 주식, 리츠, 간접펀드로 확장했다. 중요한 건 수익률이 아니라 ‘내가 투자를 배우는 과정’이었다.
4. ‘비상금 100만 원’을 가장 먼저 모아라
응급상황에서 카드 쓰지 않기 위한 장치
스마트폰이 고장 나고, 병원에 갈 일이 생기고, 갑자기 월세가 밀릴 수도 있다. 이럴 때 신용카드에 의존하면 바로 ‘마이너스 인생’의 시작이다.
내 첫 비상금 계좌는 100만 원부터 시작했다. 처음엔 한 달에 10만 원씩 10개월 걸렸지만, 이 계좌가 나에게 심리적인 안정감을 줬다.
5. 20대에도 ‘신용점수’는 돈이다
향후 전세자금 대출, 신용대출 등에서 핵심이 된다
내가 29살에 전세자금 대출을 받으려 했을 때, 신용점수가 낮아서 대출 금리가 높게 나왔다. 이유는 간단했다. 휴대폰 요금을 3번 연체한 적이 있었기 때문이다.
신용점수는 20대에도 반드시 관리해야 한다. 휴대폰 요금, 공과금, 카드 납부일은 절대 미루지 말 것.
6. 월급 외의 ‘소득 파이프라인’을 하나 만들자
블로그, 유튜브, 쿠팡파트너스… 1만 원부터 시작하라
나는 27살에 블로그로 처음 3,000원을 벌었다. ‘이게 돈이 되겠어?’ 싶었지만, 그게 지금은 월 10만 원으로 자라났다.
중요한 건 금액이 아니라 ‘월급 외의 돈’이 들어온다는 경험이다. 돈이 들어오는 파이프라인은 많을수록 좋다.
-- 20대의 시간은, 복리다 --
돈은 버는 것도 중요하지만, 관리하고 불리는 습관이 훨씬 더 중요합니다. 그리고 그 습관은 20대에 시작할수록, 당신의 미래 자산은 복리처럼 커집니다.
지금 당장, 통장을 하나 더 만들어보세요. 그게 당신의 첫 20대의 재테크입니다.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ETF란? 재테크 입문자가 이해하기 쉽게 설명 (1) | 2025.04.26 |
---|---|
금융 문맹 탈출! 꼭 알아야 할 금융 용어 정리 (1) | 2025.04.25 |
저축과 투자, 뭐부터 시작해야 할까? (2) | 2025.04.25 |
월급 관리 잘하는 5가지 방법 (1) | 2025.04.24 |
재테크 초보를 위한 돈 관리 시작 가이드 (0) | 2025.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