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

복리의 마법, 지금 시작하지 않으면 손해입니다

onetoyou 2025. 5. 11. 15:05

3년 전, 나는 퇴근 후 침대에 누워 우연히 유튜브 알고리즘이 추천해준 한 영상을 봤다. 제목은 "복리를 모르는 당신은 평생 일해야 합니다"였다. 처음에는 자극적인 제목이라 생각했지만, 그 10분짜리 영상이 내 인생을 완전히 바꿨다.

복리란? 한 번에 이해되는 개념

복리(Compound Interest)는 이자에 이자가 붙는 구조다. 매년 불어난 이자가 원금에 합쳐지면서 시간이 갈수록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마법 같은 효과를 낸다.

복리 vs 단리

  • 단리: 원금에만 이자가 붙는다
  • 복리: 원금 + 이전 이자 전체에 이자가 붙는다

예를 들어 1,000만원을 연 10% 단리로 투자하면 10년 뒤 2,000만원이 되지만, 복리로 투자하면 약 2,593만원이 된다. 복리 효과는 시간과 함께 커진다는 것이 핵심이다.

 

복리 금리

직장인인 나의 실제 이야기 : 복리 투자 5년의 변화

나는 30대 중반의 평범한 직장인이다. 20대 후반까지는 저축도 거의 하지 않았고, "투자? 그건 부자들이나 하는 거야"라는 생각을 갖고 있었다. 하지만 복리를 안 순간, 생각이 완전히 바뀌었다.

나는 바로 실행에 옮겼다. 매달 30만 원씩 ETF에 자동이체를 설정했다. 처음 1~2년은 크게 변화가 없었다. 수익률도 낮았고, 계좌를 볼 때마다 실망스러웠다. 그런데 3년 차부터 계좌가 눈에 띄게 움직이기 시작했다. 지금은 5년째인데, 총 투자금은 1,800만 원인데 계좌 잔고는 2,500만 원을 넘겼다.

 

복리를 지금 시작해야 하는 5가지 이유

1. 시간은 복리의 핵심 무기

복리는 이율보다 시간이 더 중요하다. 같은 금액이라도 10년 먼저 시작한 사람과 늦게 시작한 사람은 수천만 원의 차이를 만든다.

2. 소액으로도 가능

“돈이 없어서 못 해”라는 말은 이제 옛말이다. 매달 10만 원씩만 투자해도 30년 후에는 1억 원이 넘는다. 적은 금액도 충분한 시작점이 될 수 있다.

3. 자동화로 관리 부담 없이

나는 '자동이체 + 인덱스 ETF' 조합으로 복리 투자를 하고 있다. 매달 알아서 들어가니 감정에 휘둘릴 일도 없고, 계좌를 쳐다볼 필요도 없다.

4. 재투자가 수익률을 배로

배당금이나 이자 수익을 현금화하지 말고 다시 투자하라. 이것이 진정한 복리 구조의 완성이며, 이자에 이자가 붙는 시스템이 된다.

5. 복리는 불안정한 시장을 이긴다

단기적으로는 시장이 요동쳐도, 장기적으로는 복리 전략이 수익률을 극대화한다는 것이 데이터로 증명되어 있다.

 

복리 투자, 어떤 상품이 좋을까?

  • ETF(상장지수펀드): 장기 투자에 최적화
  • 인덱스 펀드: 분산 투자 효과로 위험 줄임
  • 복리 예금 상품: 안전한 이자형 투자
  • 퇴직연금(IRP): 장기 복리 효과 + 세제 혜택

 

복리의 곡선 효과: 10년 후부터 진짜 시작

복리의 특징은 처음엔 느리고, 나중에 폭발한다는 것이다. 1~5년은 티도 안 난다. 하지만 10년을 넘어서면 ‘복리 곡선’이 나타난다.

곡선이 시작되는 지점까지 버티는 것이 핵심이다. 이 구간을 통과하지 못하면 복리 효과를 누릴 수 없다.

 

복리를 꾸준히 실천하는 나만의 방법

  1. 1. 자동이체 설정: 매달 일정 금액을 투자 계좌로 송금
  2. 2. 계좌 안 보기: 단기 수익에 집착하지 않음
  3. 3. 재투자: 배당금이나 이자를 다시 투자
  4. 4. 독서와 학습: 투자 마인드 유지

내가 실천한 방법은 단순하지만 강력했다. 지금은 내가 먼저 친구들에게 “복리부터 알아봐”라고 말하고 있다.

 

복리는 부자의 공식이다

모든 자산가들이 복리 구조를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워렌 버핏 역시 "내 자산의 99%는 복리 덕분"이라고 말했다. 복리는 부자의 전유물이 아니다. 평범한 사람도 활용 가능한 무기다.

 

오늘이 복리 시작의 가장 빠른 날

복리는 시작할수록 이득이고, 미룰수록 손해다. 가장 늦은 시작이 ‘내일’이고, 가장 빠른 시작은 바로 ‘오늘’이다. 지금 이 글을 보는 당신, 바로 지금부터 복리를 시작하라.

 

반응형